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인칭 주어 IT와 지시대명사

by 아백_tiger 5 2025. 3. 26.
반응형

영어 문장을 자연스럽고 정확하게 구사하기 위해서 꼭 알아야 할 두 가지 문법 요소가 있습니다. 바로 ‘비인칭주어 IT’와 ‘지시대명사’입니다. 이것은 외형상 비슷해 보이지만 문장에서의 기능과 쓰임이 전혀 다릅니다. 특히, 영어 글쓰기나 말하기에서 이들을 혼동하면 문장의 의미가 어색하거나 잘못 전달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비인칭주어 IT의 문법적 기능과 실제 예문, 지시대명사의 종류와 쓰임, 비인칭주어와 가주어의 차이, 그리고 흔히 헷갈리는 THIS, THAT, THESE, THOSE의 오용 사례까지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1. 비인칭주어 IT의 문법적 기능과 실제 예문

비인칭주어 IT는 사람이 아닌 ‘날씨, 시간, 거리, 상황’ 등을 나타낼 때 주어 자리에 사용하는 용법입니다. 여기서 ‘비인칭’이라는 말은 '사람을 지칭하지 않는' 주어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It is raining.”, “It is 3 o’clock.”, “It is 5 miles to the station.”과 같은 문장에서 IT은 특정 사물이나 대상을 가리키지 않고 단순히 문법적으로 주어 자리에 들어가는 형태로 사용됩니다.

비인칭주어 IT는 종종 "가짜 주어"로도 불리며 영어 문장에서 문법적 균형을 맞추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It is important to study English.”라는 문장에서 to study English가 진짜 주어지만 자칫 문장이 무거워 보일 수 있으므로 가짜 주어 IT을 앞에 둔 형태로 사용됩니다. 이처럼 비인칭주어 IT는 문장을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이러한 IT 사용은 일정한 패턴을 따릅니다. It + be + 형용사 + to부정사/that절 구조가 자주 쓰이며, 시험에도 자주 등장하는 표현입니다. 예를 들면 :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him.”, “It is clear that she is lying.” 등입니다. 이처럼 IT는 문장에서 사람이나 사물을 지칭하지 않고도 구조를 완성시켜 주는 핵심 도구로 작용합니다.

2. 지시대명사의 종류와 문장에서의 쓰임

지시대명사는 말 그대로 어떤 대상을 ‘지시’하는 대명사로 영어에서는 크게 네 가지로 나뉩니다: this, that, these, those. 이 네 가지는 시간적·공간적 거리, 수(단수/복수)에 따라 구분됩니다.

가. This : 가까운 단수 → This is my book.

나. That : 먼 단수 → That is your car.

다. These : 가까운 복수 → These are my keys.

라. Those: 먼 복수 → Those are old photos.

지시대명사는 문장에서 명사를 대신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강조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소개할 때도 쓰입니다. 특히 영어 회화에서는 상대방의 관심을 끌기 위한 표현으로 자주 활용됩니다. 예를 들면 : “This is what I was talking about!”, “Those were the days!”

또한 지시대명사는 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처럼도 쓰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지시형용사라고도 불리며 명사 앞에 위치합니다. 예를 들면 : “This book is interesting.”, “Those people are my friends.”

학생들이 흔히 실수하는 부분은 복수형 구분입니다. 예를 들어 “These is my friends.”와 같이 주어와 동사의 수일치 오류를 범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These와 those는 복수형이기 때문에 동사도 반드시 are로 쓰야 합니다.

3. 비인칭주어 IT와 가주어의 차이점 분석

많은 영어 학습자들이 어려워 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비인칭주어 IT’와 ‘가주어 IT’입니다. 외형은 같지만 이 둘은 완전히 다른 문법적 기능을 합니다.

비인칭주어 IT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날씨, 시간, 거리 등을 표현할 때 쓰이며 문장 내에서 특정 대상이 없습니다. 반면 가주어 IT는 진짜 주어가 너무 길거나 복잡해서 문장 맨 앞으로 내세우기 어려울 때 사용되는 대체 주어입니다.

예를 들어 “It is important to exercise every day.” 이 문장에서 it은 가주어이고 to exercise every day는 진주어입니다. 진짜 주어가 문장 끝에 위치하면서 문장을 더 자연스럽고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 줍니다.

또 다른 예를 보면 : “It is clear that he made a mistake.” 이 문장에서도 it은 가주어이며 that 이하의 절이 진주어 역할을 합니다. 이런 구조는 공식 문서, 에세이, 뉴스 기사 등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복잡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정리하자면, 비인칭주어 IT는 문장 내 특정 대상 없이 형식적 주어로 쓰이고 가주어 IT는 진짜 주어를 뒤로 보내기 위한 전략적인 구조입니다. 두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고 구분하는 것이 문법을 정복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4. THIS, THAT, THESE, THOSE 비교와 오용 사례

영어 지시대명사에서 가장 혼동을 일으키는 부분은 this와 that, these와 those의 정확한 구분과 문법적 일치입니다. 특히 한국어에는 지시대명사의 명확한 구분이 없어서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가. This vs. That

1) This : 말하는 사람과 가까운 것 → “This is my phone.”

2) That : 말하는 사람과 먼 것 → “That is her house.”

나. These vs. Those

1) These : 가까운 복수형 → “These are delicious cookies.”

2) Those : 먼 복수형 → “Those were amazing days.”

문법상 가장 빈번하게 틀린는 경우는 ‘단수/복수 일치 오류’입니다. 예를 들면 : “These is my friends.” (오류) → “These are my friends.” (맞음)
또한, This/These와 That/Those는 시간적 거리감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상할 때는 that/those를 사용하며, 현재의 감정이나 경험에 대한 강조는 this/these를 사용합니다.

1) “That was a terrible day.” → 과거 회상

2) “This is the best moment of my life.” → 현재 강조

학생들이 자주 범하는 또 다른 실수는 지시대명사와 명사의 수 불일치입니다. 예를 들면 : “Those book are old.” (오류) → “Those books are old.” (맞음)

지시대명사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은 기본적인 영어 문장력을 다지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단수와 복수, 시간과 거리의 개념을 정확히 구분하여 사용한다면 보다 자연스러운 영어 표현이 가능합니다.

5. 총평

비인칭주어 IT와 지시대명사는 영어 문장의 기초이자 필수 문법 요소입니다. 이 두 개념을 혼동하지 않고 정확히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영어 작문과 말하기 실력을 높이는 중요한 내용입니다. 본문에서 소개한 예문과 개념들을 반복적으로 익히고 연습하면 자연스럽게 정확한 문장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반복적인 학습을 통하여 IT와 지시대명사의 쓰임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